작가의 맛에 대한 철학이 담겨있다. 저 제목에 숨어있는 단어가 있다.

안주. '오늘 안주 뭐 먹지?'로 읽으면 정확하다고 한다고 책에서 읽었다.

맛은 몹시도 사적인 영역이다. 이 책은 작가의 그런 영역의 일부분을 살짝 보여준다.

나는 소주도 별로 좋아하지 않고, 작가가 좋아하지 않는다는 인공적인 단맛을 최대치까지 끌어올린 것들을

상당히 사랑하고 있는데다 재료 본연의 깊은 맛은 손쉬운 조리법이 있다면 쉽게 대체해버리는 성향이 있어서

어찌보면 작가와는 맛보며 살아가는 세계가 살짝 다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래도 재미있었다.

요리하는 과정이라던지, 과거의 맛에 대한 추억이라던지, 음식에 대한 소소한 에피소드들은 내것이 아니었음에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었고 소소하게 즐거움을 줬다.

 

소주 좋아하고, 소주 안주로 딱 어울리는 음식들에 무한한 애정을 가진 사람이라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어린 시절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는데, 성장기가 작가분과 비슷하다면 추억을 되살리며 공감하며

읽을 수 있을지도.

 

'오늘 뭐 먹지?'란 만화책을 찾다가 우연히 발견해서 읽게 되었는데 주정뱅이가 제목에 들어가는 소설도 읽어볼까

생각 중이다. 명절날의 콩가루 파트를 재미있게 읽은 것도 인연이니까.

 

단골 중국집에서 팬을 만난 작가의 경험담이 이 책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다. 그 중국집만큼은 어딘지 알고 싶다.

알고 싶어서 구글에 검색했더니 한겨레 칼럼이 나온다. 짜장면 사진도 나오더라.  그 집은 아닌 듯.

유명해진다는 건 불편하다고 이제 칼럼은 그만 쓴다고 한다. 이 책의 2권은 없을 듯.  

팬분 어디 계시나요? 그곳은 어디인가요? 간짜장이 맛있다는 그곳은 도대체 어디인가요?...이란 건 구글도 대답해

주지 못한다. 일단 단념하고 내가 갈 수 있는 간짜장 맛집을 몇군데 찾아두는 걸로 마무리를 지었다.

 

 

 

 

 

 

 

 

 

 

+ Recent posts